제목: 사직서 없이 탈출: 인수 창업으로 새로운 커리어 시작하기
- 부제목: 회사 밖에도 내 길은 있다: 직장인을 위한 작은 사업 인수창업 가이드
프롤로그: 탈출을 꿈꾸다
평범한 직장인이 어떻게 하루아침에 매출이 나오는 사업체의 대표가 되었는가?
창업의 실패와 취업
“우리 이제 정말 끝난 것 같아... 지원금도 모두 소진됐고, 다음 달부터는 월급을 줄 돈이 없어.”
시작은 아주 찬란했다.
스타트업 창업 후, 어느덧 2년 차. 여러 제품을 시장에 내놓으며 운 좋게 한 제품이 관심을 끌었고, 덕분에 미팅을 요청하는 사람들도 점점 많아졌다. 그때는 SNS 타겟 광고를 보고 연락하는 심사역들의 전화번호가 쌓일수록 비로소 우리가 올바른 길을 걷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제품이 흥미로워 미팅 요청 드립니다. 커피챗 한 번 가능할까요, 대표님?”
VC들이 흔드는 투자금 이야기는 달콤하게 들려, 그 돈만 있다면 회사의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느껴지곤 했다. 그러나 현실은, 다음 달 급여조차 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의 본질적 문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매출 구조와 불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에 있었다.
당시 나는 그 문제들이 크게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마치 투자금만 확보하면 이 모든 고통이 지나갈 것이라 착각했다.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왜 많은 창업자들이 투자 유치액을 영업이익과 동급의 성과로 착각하는지 이해가 간다. 결국, 우리는 초기 자본금과 지원금을 모두 소진했고, 그렇게 우리의 짧은 2년간의 도전은 끝났다.
나는 다시 작은 회사에 취직해 평범한 직장인의 삶을 시작했다. 상사의 지시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고, 빨간날만을 기다리며 출퇴근을 반복하는 그런 삶이었다. 그나마 월급을 받을 수 있다는 안정감 덕분에, 평범하고 무난한 일상이 오히려 행복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다. 적어도 이미 잔고가 0인 법인 통장에서 월급 어떻게 줘야할지 고민은 안 해도 되는 날들이니까.
창업 실패의 복기: 다시 도전할 기회
안정된 일상 속에서 나도 모르게 실패한 사업을 되…
Keep reading with a 7-day free trial
Subscribe to 진양의 인수 창업 생존기 to keep reading this post and get 7 days of free access to the full post archives.